
SUMMARY OF HISTORY
1984
|
08.
|
L.A. 의 몇몇 산악인들이 모여 순수 알피니즘을 지향하는 산악단체의 태동을 논의하고 창립을 위한 구체적인 준비와 산악회이름, 창랍취지, 회칙정관, 계획서 등등 세부사항들을 차질없이 준비키로 함. |
11.04
|
Mt.Baldy 에서 총 23명이 발기인이된 재미한인산악회(Korean American Alpine Club)가 발족됨. 초대 간사장에 한국청화산악회 출신 박규동 선출. 제1회 산제도 함께 거행. | |
11.07
|
제1대 박규동 간사장의 급 귀국으로 간사장직이 유고. 섭외간사 유한종, 기획간사 조종환 등이 6개월간 업무를 대행키로함 | |
11.14
|
현행 간사회를 정기월례임원회의로 변경 운영키로하고 전 임원이 참석키로함. 대외 홍보용 창립인사장 문안을 검토 수정없이 채택 | |
12.05
|
임시 총회에서 박규동 간사장 공식유고 발표. 투표로써 간사장 보궐선거를 실시하자는 개의안이 통과. 제2대 간사장 선거를 실시하여 유한종 후보가 재투표까지 가는 과정속에 제2대 간사장에 선출됨. | |
12.31
|
박규동 간사장의 직위와 그 직무 일절을 공식 해제함. | |
1985
|
01.
|
대외 홍보용 창립 인사장을 각계에 발송. |
01.23
|
정기월례회의에서 공석중인 임원보선. 기획간사에 조종환, 섭외간사에 최각진 선출. 실행중인 Boy Scout 의 산악훈련 계속 지원하며, 본회 중점사업으로 청소년 선도와 후진양성에 전력을 경주키로하는 안건들이 통과. | |
07.
|
7월부터 수차례에 걸쳐 Sequoia National Forest 의 Needle 등반. | |
11.
|
제2회 산제를 Mt. Baldy에서 개최함. | |
1986
|
01.18
|
정기 월례회의에서 회원 배가운동을 실시. 암벽 등반장비 Friend 1조를 구입 결정. |
09.
|
Mt. Whitney 를 김기환선배와 합동 등반. | |
11.
|
제3대 간사장에 유동혁 선출. 제3회 산제를 Mt.Baldy 에서 개최함. | |
1987
|
05.
|
Yosemited Nationa Park l의 El Captain 등반. |
11.
|
제4대 간사장에 유동혁간사장 유임. 제4회 산제를 Mt.Baldy 에서 개최함. | |
1988
|
03.25
|
기존 산악회간의 단합을 위한 재미대한산악연맹(Korean Alpine Federation in America)이 창립을 같고 초대회장에 김기환 선출. 타산악회원들과 함께 재미산악회 회원들도 다수 참석하고 본회 회원 6명 이사진에 선임되 참여함. |
08.05
|
제15회 88한국의날 행사를 맞아 재미대한산악연맹이 개최한 제1회 등산대회를 주관함. | |
11.
|
제5대 간사장에 최각진 선출. 제5회 산제를 Mt.Baldy 에서 개최함. | |
1989
|
01.
|
최각진 간사장의 사의로 간사장직이 또다시 유고. 제5대 간사장으로 김성범 선출. |
05.
|
Yosemite 의 Tualoamedow Trail 등반. | |
11.
|
제6대 간사장에 김성범간사장 유임. 제6회 산제를 Mt.Baldy 에서 개최함. | |
1990
|
03.03
|
또다시 간사장직이 유고. 제6대 간사장을 보궐 재선출하여 공봉국 선출. |
03.17
|
Joshua Tree Rock Climbing 하던 김성범 미끄러져 실족추락. 전치 2-3개월의 부상으로 응급조치후 LA로 후송. | |
04.07
|
총회에서 연락사무소를 1046 S. Fairfax Ave., Los Angeles로 정함. 산행 안전수칙의 제정, 회보작성안이 통과됨. 남가주한인산악회(Korean Alpine Club of Southern California) 와의 합병을 논의함. 합병에 대한 최종결정은 남가주한인산악회와의 합동토론회 이후로 미룸. | |
04.20
|
용궁회관에서 두산악회 회원들이 모인 가운데 합병에 관한 토론식 공청회 개최. 재미한인산악회(KAAC)는 꾸준한 산행으로 돈독한 유대관계를 이어온 반면, 남가주한인산악회는 계속 내분되어 왔으므로 합병에 신중하자는 결론에따라 더 검토키로 하면서 결정을 미뤄 합병은 일단 무산됨. | |
05.
|
Yosemite 의 El Captain 을 남가주한인산악회와 합동등반. | |
11.11
|
제7대 간사장에 김재성 선출. 제7회 산제를 Mt.Baldy 에서 개최함. 회칙을 개정하여 간사장 1년기간을 2년으로 연장함. | |
1991
|
10.
|
총회에서 회칙정관 개정 (제7조, 제16조, 제20조) |
11.03
|
제8회 산제를 Mt.Baldy 에서 개최함. | |
11.01
|
제8대 간사장에 이장원 선출. 제9회 산제를 Mt.Baldy 에서 개최함 | |
1993
|
07.03
|
Mt. Whtney, 4418m (14,494 ft) 등정. 김중석, 이장원 총 21.4 마일을 17시간 당일 연속산행 주파. |
07.03
|
Mt.Rainier 를 조광렬, 이현수 화원 남가주 한인 산악회와 합동 등반. | |
09.03
|
Yosemite 의 Tuolomne Meadow 27.5 마일을 공봉국, 임병욱,김중석,이장원 16시간 연속산행 완주. | |
11.07
|
제10회 산제를 Mt.Baldy 에서 개최함. | |
1994
|
07.30
|
7/30 부터 8/27까지 Mt.Rainier 등정을 위한 훈련등반 |
09.02
|
09.02 - 05(3박4일) Mt.Rainier 등반. 기후관계로 정상시도는 이루지 못하고 11000 피트에서 하산. | |
11.13
|
제9대 간사장에 조광렬 선출. 제11회 산제를 Mt.Baldy 에서 개최함 | |
1995
|
04.
|
4월부터 10월까지 거의 매주 Mt.Wiliamson 에서 여러회원들이 Rock Climbing 훈련을 함. |
06.03
|
06.03 - 06.19 제2차 Mt.Rainier 등정. 유동혁외 6명 또다시 정상정복 실패. 12000피트에서 하산. 조난사고로 헬기에의해 구조됨. | |
11.12
|
제12회 산제를 Mt.Baldy 에서 개최함. | |
1996
|
10.04
|
: 제10대 간사장에 유재일 선출. 기획간사에 김재성, 장비등산간사에 이현수,재무간사에 이준해 선출. 회칙을 개정하여 년회비를 60불로 하고 현행 임원임기를 2년으로 한다에서 임원의 임기를 1년으로 하되 재선출에 의하여 중임할수 있다로 개정. |
11.11
|
제13회 산제를 Mt.Baldy 에서 개최함. | |
1997
|
11.02
|
제14회 산제를 Mt.Baldy 에서 개최함. |
1998
|
04.01
|
유재일 간사장의 간사장직 사의표명으로 제7대 간사장이었으며 현 기획간사인 김재성 간사장직을 대임함. |
04.12
|
눈덮인 Mt.Baldy에서 유재일회원 결혼. | |
06.14
|
Mt.Whitney 구본태외 4명 등정. | |
08.14
|
8.14 - 16, 제3차 Mt.Rainier 등정. 이정현, 김명준, 구본태 정상정복 | |
09.30
|
09.30 - 10.04, 김명준, 허재형 Japan North Alps 해외등정. | |
10.
|
회칙을 개정하여 운영체제를 現 간사제도에서 회장, 총무제로 개정함. 제11대 회장에 이정현 선출. 총무에 김영범 선출. | |
11.08
|
제15회 산제를 Mt.Baldy 에서 개최함. 하객 故 김수보씨 심장마비로 인해 구급차로 하산한후 안타깝게 사망. 전회원 장례예배에 참석 고인을 추도함. | |
12.23
|
12/23 - 01/05/99, 유재일, 김명준 Nepal, Hymalaya의 Mt.Annapurna Base Camp Trekking. | |
1999
|
06.20
|
06.20 - 07.02, 김명준 회원 Africa의 Mt.Kilimanjaro, (5,895m=19,340 ft) 정상등정. |
07.02
|
7.2 - 04, 2박3일간에 거쳐 Kings Canyon에서 Onion Valley에 이르는 Sierra Nevada 동서교차 21마일 횡단을 곰의 습격이있는 가운데 참가회원 모두 무사히 성공. | |
08.05
|
08.05 - 08.10, 현창수 회원 한국의 백두산 정상등정. | |
10.
|
산악회 정기총회에서 現11대 이정현회장 유임됨. 약간의 회칙개정이 있었음. 산악축제 장소변경안이 주요의안이 됨. | |
11.07
|
제16회 산악축제를 Mt.Islip의 Little Jimmy Camp 에서 개최. 1999년도 일년 한회의 총산행거리만 무려 약 600마일 이상을 돌파함으로써 남가주의 한인산악회들은 물론 모든 타인종 산악회들을 통틀어 가장 많은 산행거리를 기록한것으로 예상. | |
12.20
|
12/20/99 - 01/06/00, 남미 최고봉 Aconcagua, 6957m (22,834 ft) 김명준, 허재형 해외등정. 김명준 정상정복. | |
2000
|
05.27
|
05.27 - 29, 2박3일에 걸쳐 Grand Canyon National Park 남북 21마일을 130도가 넘는 폭염속에 교차횡단 성공. 김중석회원 또다시 이곳도 당일 연속주파. |
06.27
|
Internet Web Home Site 를 박리처드 회원에의해 제작 시작함. http://www.kaac.co.kr/ | |
07.01
|
7.01 - 04, 3박4일, Northern California의 Mt.Shasta 등정. | |
09.02
|
09.02 - 04, 2박3일, Sierra Nevada 의 Mt.Palisadese 등반. 시간상 200 미터를 남기고 아깝게 등정 포기함. | |
10.04
|
제16회 정기총회에서 12대 회장에 김명준 선출. 총무에는 이영재 선임. | |
10.08
|
Icehouse canyon에서 Mt.Baldy를거쳐 Mankers Flat Camp로 내려오는 총 17.1마일의 당일 Mt.Baldy 일주 산행을 산악회원중 8명이 성공함. 김중석, 이정현, 김명준, 배대관, 신영철,강희남, 이영재, 박리처드. | |
11.05
|
제17회 산악축제를 Mt.Islip의 Little Jimmy Camp 에서 개최. | |
11.18
|
11.18 - 19, 1박2일, Death Valley NP 에서 제일 높은 Telescope Peak 등정 | |
2001
|
05.26
|
05.26 - 28, 2박3일, Sequoia NP 의 Mineral King을 거치는 Black Kaweah Peak(13,675ft)원정, 시간상 Black Rock Pass(11,600ft)까지 전진후 회향. |
06.13
|
신영철회원 미주중앙일보주최 신춘문예 소설부문 당선. | |
07.04
|
07.04 - 08, 4박5일, 제4차 Mt. Rainier 등정. 유재일, 배대관 정상을 눈앞에두고 무서운 강풍으로인한 악천후로 포기함. | |
09.21
|
09.21 - 10.12, 21박22일, 앞으로 등정을 계획하고 있는 Mt.Everest 의 정찰을 목적으로 Himalaya의 Imja Tse Peak(=Island Peak; 6,189m) 원정. 외부 도움없이 최초로 미주산악회 역사상 순수하게 1년간의 KAAC 자체준비와 계획으로 12명의 대원들이 원정. 김명준, 신영철, 배대관,유재일 정상 등정.제17회 정기총회에서 現12대 김명준회장 유임. 총무에는 이준해 선임. | |
10.17
|
제17회 정기총회에서 現12대 김명준회장 유임. 총무에는 이준해 선임. 지난 일년간 산행 횟수는 53회이며 총 산행거리 약 640여마일. | |
11.04
|
제18회 산악축제를 Mt.Islip의 Little Jimmy Camp 에서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