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조 평원 꽃바다를 가다
글·관리자2·사진 재미한인산악회 회원들
미안 해 꽃들아
이번 카리조 꽃 산행 행사에는 모두 15명이 참석했다. 이 행사를 위해 박시몬 회원은 4차례나 정찰을 갔다 왔다. 사막성 기후의 LA 근교 야생화들은 짧지만 강렬하게 봄을 알린다. 겨우내 눈폭탄, 비폭탄에 시달린 올해의 꽃 마중에 모두들 기대가 컸다. 꽂이 폭탄처럼 수퍼블룸(Super Bloom)이 될 거라 말들 하고 있으니까.
2017년 만났던 카리조 평원(Carrizo Plain National Monument)의 꽃 바다. 그때 만났던 소름 돋는 감동은 5년이라는 시간이 지난 지금도 또렷하다. 하마 꽃소식이 왔을까, 혹은 놓칠까 조갑증이 나서 4월 첫 주 이곳을 돌았다. 아득한 평원엔 색색의 야생화들이 앞 다퉈 들판을 덮어가고 있었지만 절정은 아니었다.
며칠이 지나자 지평선이 아닌 ‘꽃평선’을 이룬 꽃바다에 놀란 미국의 뉴스가 먼저 터지기 시작했다. 카리조 평원을 뒤덮은 야생화의 장관을 다투어 보도하기 시작한 것이었다.


리도 일주일이 지난 9일, 다시 신 새벽 카리조 평원으로 달렸다. 카리조 평원은 비교적 최근인 2012년에 국가 기념 장소로 지정되었다. LA에서 북서쪽으로 160km정도 떨어져 있었고 자동차로 2시간 정도 걸리는 오지였다.
이곳은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잘 보존된 원시의 장소로도 불린다. 평원의 들머리 소다 호수(Soda Lake Rd) 길로 접어들며 탄성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이곳은 불과 1주 전 왔던 카리조 평원이 아니었다.
그때는 살며시 실눈을 뜨고 자신이 잠깐 살다 갈 세상을 엿보던 꽃봉오리들이 더 많았다. 그 봉오리들이 폭탄 터지듯 일제히 피어난 것이다. 호수 건너편 템블러 산맥(Temblor Range)도 노란 빛으로 물든 걸 보면 거기도 제철을 만나는 중인 모양. 우점종을 이루고 있는 힐사이드 데이지(Hillside Daisy) 피들넥(Fiddleneck) 골드필즈(Goldfields) 꽃들의 특징은 모두 노란색이라는 점이다.
사진을 찍으러 꽃밭에 들어 설 때마다 “미안해, 미안해”라는 말이 자동으로 나온다. 꽃에게 하는 진심어린 독백이다. 정말 풀보다 꽃이 많다. 키 큰 꽃 아래에도 한국의 제비꽃 닮은 아주 작은 꽃이 빼곡했다. 그것들을 밟는 미안함.




이 세상을 바꿔 놓았다.
몽땅 자신을 닮은 노랑 세상으로 만든 것이다. 물론 이 순간을 위하여 겨우내 치열하게 준비를 했겠으나 놀라운 변신이다.
1주 만에 산야는 물론 지평선까지 노란 꽃 세상을 만든 꽃의 마술.
소리도 없이 화려한 색채와 향기를 창조해 낸 꽃들의 반전. 놀라운 일이다.
우리가 달리는 비포장도로가 대략 80km쯤 되니 꽃이 점령한 크기를 미루어 짐작한다. 우리처럼 개화 정보에 촉을 세운 사람들이 많았다. 모두들 어른 아이가 되어 꽃밭에서 온갖 요상한 폼을 잡는다. 도로가에 꼬리를 물고 주차된 차들이 보이면 그곳은 볼거리가 있다는 신호.
폐허가 된 목장을 지나 무인 캠프장에서 점심을 먹었다. 이곳 평원을 방문하려는 사람들에게 공원 당국은 경고하고 있다. 이 평원에는 물, 음식 또는 연료를 보충한 수 없다. 무인지역이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나는 미국에서 지정한 국립공원이나 기념물(National Monument)는 무조건 믿는다. 그런 이름이 붙은 곳을 무수하게 방문했지만 한 번도 실망한 적이 없다.
그리고 국가 지정 기념물, 모뉴먼트는 머지않아 국립공원으로 승격할 확률이 높은 곳이기도 하다. 카리조 평원은 제주도의 절반쯤인 1,000㎢에 달하는 크기였다. 이 예비국립공원은 캘리포니아에 있는 초원중에서 가장 큰 곳이다.





생의 꽃 바다에 부는 봄바람
이런 풍요로운 곳에 사람이 사는 건 당연한 일. 이곳에는 츄마시 인디언이라는 원주민이 살았다. 그들이 신성시하던 페인티드 록(Painted Rock)을 멀리 보며 달렸다. 성채처럼 솟은 바위덩어리 안쪽에는 원주민들의 벽화가 있다는데 별도의 허가가 필요하다.
대신 호수를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를 올랐다. 전망대로 오르는 등산로 역시 꽃길이다. 호수 건너 템블러 산맥의 어느 곳은 꽃들이 무지개 색깔로 피었다. 노란색이 압도적이긴 하지만 악센트처럼 붉음과 보라색이 섞인 수채화를 감상하는 느낌이 든다.
눈 앞 야생의 꽃 바다를 쓸고 바람이 분다. 바람에도 꽃향기가 물씬 묻어 있는 듯 했다. 어서 오라는 듯 노란 꽃바다 꽃들이 파도처럼 일렁인다. 이곳에 시나브로 핀 야생화는 사람에게 보여주려 피어난 꽃이 아니다. 누가 보거나 말거나 스스로 자유롭게 한 철 살다 갈 야생화들
이런 경이로운 꽃바다를 보며 뜬금없이 잘 살아왔다는 생각도 든다. 산을 좋아하다보니, 계절 따라 이런 행복도 찾아 낼 수 있다는 자가 발전. 그런 허튼 생각이 불쑥 든 건, 꽃으로 이어진 꽃평선이 아득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꽃평원을 종단하며 여태 달려온 소다 로드를 버리고 7마일 길로 접어 들었다. 물론 이 길도 비포장도로. 증기기관차처럼 꽁무니에 하얀 먼지를 품어 내며, 맞은 편 템블러 산맥을 향해 돌진했다. 7마일 길 역시 뷰포인트로 소문난 길이다.
앞에는 야생화를 뒤집어 쓴 채 거대한 꽃동산으로 변한 산맥이, 양쪽으로는 질펀한 꽃평원을 가르며 달리는 길. 중간 중간 그 경치를 담으려 차를 세운다. 드디어 엘크 호른(Elk horn Rd) 길을 만났다. 엘크 호른 길 역시 전 구간이 비포장도로. 이 험준한 길은 템블러 산맥을 넘어 가는 지름길이기도 했다.
비가 오면 절대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섬뜩한 경고판이 오늘도 보인다.





길에는 내게 끔찍한 사연이 담겨있다. 엘크 호른 길은 이곳에서도 오지 중 오지이기에 숨어 있는 야생화를 더 많이 볼 수 있다는 길이다. 우리처럼 힘 좋은 4륜구동 차만 볼 수 있는 한적함도 마음에 들었다. 좋은 사진 건진다는 욕심이 앞섰다. 무인 지구이므로 차가 빠졌을 경우 조난된다는 경고를 무시하게 했다.
동쪽 소다호수를 끼고 돌아, 서쪽 평원의 웅장한 경치를 감상하는 한 바퀴를 돈다는 느낌의 완성. 그런 욕심이 엘크 호른 길을 선택하게 만든 것. 하지만 언제나 정부에서 세금으로 만들어 붙여 놓은 경고는 듣는 게 좋다. 이 엘크 호른 길이 그런 간단한 진리를 더 간단하게, 내게 쑥~ 알려 줬다.
그때는 후배 정임수 작가와 함께였는데, 그의 차는 힘 좋다는 토요다 SUV 사륜구동이었다. 가자! 빠질 것 같으면 돌아 나오면 되지. 사륜구동인데 걱정할 거 뭐 있어. 정임수 작가가 내 말을 듣고 간 것만은 아닐 것이다. 그 역시 자연에 대한 호기심천국, 생각이 닮은꼴이라 그랬을 것이다.
잠깐 저 노란 꽃밭이 그림이 좋겠는데... 내 말을 듣고 정작가가 비포장이지만 바짝 마른 길로 슬쩍 차를 들이밀었다. 슬쩍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정말 살살 1미터쯤 들어갔을 때였다. 마른 껍질이 쑥~! 들어가더니 바퀴가 빠졌다.
조금 앞으로 갔다가 백을 하면 될 듯싶어, 조금 전진하면 그 만큼 빠진다. 후진도 헛바퀴 뿐. 믿었던 사륜구동 4바퀴 모두 진흙에서 헛바퀴. 옷을 벗고 손으로 진흙을 파내고, 시트를 버릴 요량으로 바퀴 밑에 끼어 넣고...
별짓을 해도 사륜 헛바퀴. 소용없었다.





모든 아름다움은 고생 끝에 있다
겁이 났다. 흙을 파내느라 혹사한 손까지 부들부들 떨렸다. 죽을 염려는 없지만 해는 지고 있지, 인적은 없지, 휴대폰은 불통이지, 배는 고프지. 가자! 라고 한 죄가 컸다. 온몸을 땀으로 샤워를 하면서 차량 구출에 목메었으나 헛심만 쓴 꼴.
전화 감도를 찾아 헤매던 정작가가 구세주 같은 복음을 전한다. 신고를 했더니 연결이 되었고, 구글 위치추적으로 확인을 했고, 구조차량이 올 것이라고. 눈물이 날 거 같았다.
힘센 트럭이 왔고 1000달러를 먼저 결제 하더니 쇠줄을 묶고 쑥~! 차를 빼준다.
불과 1-2미터 쑥~ 빼주고 천불이라니. 결재할 때만해도 와준 게 고맙기 그지없었으나, 위기를 벗어나자 간사스럽게 그 돈이 무척 아까웠었다. 말 안 듣는 우리 같은 차가 많아, 꽃구경 철에는 특수를 누린다고 독사 약까지 올린다.




세 살 버릇 여든 간다고 이번에도 가자! 였다. 그 이유는 중간에 산 안드레아스 단층(San Andreas·斷層)을 보아야 한다는 핑계였다. 비록 우리가 인식할 수 없을 만큼 천천히 움직이는 땅이지만, 지금도 이동하고 있는 카리조 평원의 반쪽.
태평양 판이 미국대륙 판과 어긋나게 부딧쳐 일어나는 경계가 단층이다. 이 외딴 평원을 산 안드레아스 단층이 가로지르며 계곡을 깎고 산을 이동시키고 있다. LA에 지진이 많은 이유도 이 때문.



카리조 평원의 반쪽은 4000만년 후에는 샌프란시스코에서 만날 수 있다는 과학.
단층을 조망하러 근처 언덕을 올라섰다. 평범한 계곡이 단층이라니 실감나지 않는 그림이다.
그러나 여기서 보는 소다 호수와 꽃 바다는 일품이었다. 소다 호수라는 이름답게 물가에는 베이킹 소다처럼 백색 알칼리 침전물이 꽃밭 속 도드라져 보인다. 제주도 반 쯤되는 광활한 초원. 이 초원을 가득 채운 야생화 바다가 숨이 멎는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산 안드레아스 단층은 수만 년 동안 느리게 움직이지만, 야생화는 몇 주만 지속되는 짧은 생이라는 생각도 문득 든다.


역시, 말 잘 안 들어 가끔 맘고생을 하는 사람들에겐 복이 있다.
무시무시한 비포장 언덕을 넘고, 길게 파인 도랑을 타고 넘다보니 꽃을 잊었다. 왜 세상 모든 아름다움은 이런 마음 졸임을 해야 만날 수 있는 걸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쑥~!을 피해가게[ 해주소서 기도가 통했는지 템블러 산맥을 넘는 고개를 무사히 올라섰다.
이제 내리막 길. 굴러도 내려갈 것이니 걱정을 덜었다.
또 간사해졌다. 쑥~! 걱정을 언제 했냐는 듯 우리는 차를 세우고 다시 풍경 속으로 녹아 들었다.






캘리포니아 주화(州花)인 주황색 파피(Poppy)와 보라색 꽃 군락이 어울렸다. 무지개처럼 계곡을 채색하고 있다.
높은 곳에서 우리가 지나 온 꽃평야를 내려다본다. 비포장도로가 한 줄 가르마처럼 보였고, 그 가르마를 타고 우리는 꽃벌판을 나누며 왔다. 나는 이런 세상을 처음 만난다. 이렇게 넓은 꽃산맥에 빠진 것도 처음이다.
이곳에 방목했던 소가 생각났다. 그 검은 소는 풀보다 많은 꽃을 먹었으니, 자동으로 꽃등심 소가 될 터. 행복했던 날 늦은 저녁은 유용식 선배님이 북창동 순두부에서 쏘셨다.
꽃등심 대신 잘게 썬 소고기가 들어 간 순두부, 그것으로 입도 행복해지게 만들어 준 유용식 선배님 감사합니다.
모든 회원이 정성스레 싸 온 음식이 카리조 평원 꽃풍년처럼 푸짐했다.
꽃놀이에 와인을 준비해 격조를 높여 준 태미김 회원께도 감사드린다.
엔텔롭캐년 파피꽃을 안내하 준 이순덕 회원께도 감사들린다.
8명 식구 종일 웃고 떠들게 해주고 보너스로 엘크로드 험한 길을 쑥~! 없이 넘겨준 박시몬님께도 감사.
이런 자리를 만들어 준 회장께도... 빈데떡... 강수잔 사진사.. 애구... 모든 회원께 감사.
이렇게 2023년 꽃귀경 행사는 잘 끝났다.




